조계종이 시설 특별회계 예산에 100억원을 증액하는 등 내년엔 신도시 포교 거점 확보에 주력한다.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은 11월8일 서울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브리핑룸에서 간담회를 갖고 불기 2563(2019)년 중앙종무기관 세입세출안을 공개했다. 내년도 중앙종무기관 전체 예산은 1004억5700여만원으로, 2018년에 비해 176억8700여원이 늘었다.
기획실에 따르면 10월31일 종무회의를 통과한 내년 중앙종무기관 전체 예산안 각 기관의 사업과 예산 계획을 제출 받아 부서간 협의 3차례, 부실창 및 차팀장 회의를 거쳐 수립됐다.
이번 전체 예산안 가운데 주목할 부분은 특별회계로 총 154억9600여만원이 증액됐다. 특히 시설 특별회계는 전년보다 106억4800만원이 인상된 185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신도시 포교 거점 마련을 위한 예산이다. 현재 서울 용산구 보광동에 연등회가 임대한 건물 및 토지 매입에 따른 계약금 60억원, 서울 중구 필동 남산한옥마을에 위치한 충정사 매입 계약금 40억원 등 총 100억여원이 반영됐다. 보광동 건물과 토지는 용산 미군기지 이전시 개발에 따른 전략적 종교용지 확보 차원이다. 충정사의 경우 현재 소유권은 서울시에 있으며, 시는 2002년부터 임대료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함께 36대 집행부의 중점 사업으로 손꼽히는 승려복지 관련 내년도 예산은 이월금 증가로 22억5700여만원이 늘었다.
전체 예산안 가운데 일반회계 세입은 8.1% 증액된 291억3600여만원으로 책정됐다. 직영분담금과 전년도 이월금 등이 인상됐다. 직영분담금은 7.5%가 오른 98억5700만원, 이월금은 11억원이 올랐다. 중앙분담금은 동결됐다. 이월금 상승 이유는 총무원장 퇴진 등 정상적 종무행정의 어려움으로 집행하지 못한 예산 등이 일정 부분 반영됐다. 직할교구 소속 사찰이 타교구로 이관되면서 해당교구 분담금이 적용된 부분도 일반회계 증액 요인이다.
내년도 기금회계 예산안에는 신규 사업을 배정했다. 포교원이 추진하는 종단표준불교성전 편찬 기금으로 1억8300만원이 편성됐다. 2020년까지 종단 차원에서 처음 편찬하는 종단표준불교성전은 불자와 국민들에게 환경, 인권, 생명 등 각종 사회현안에 대한 불교적 입장이 담긴 교리서다.
각 기관별로 종정기관(예경실, 원로회의, 법규위원회, 중앙선관위, 소청심사위, 종립학교관리위), 사서실, 기획실, 사회부, 호법부, 중앙종회 예산은 전년 대비 소폭 감액됐다. 이 가운데 백년대계본부 보조금은 1억5000여만원 감액된 3억원으로, 조직 개편에 따른 사업 재조정이 반영됐다.
반면 총무부, 재무부, 문화부, 박물관, 사업부, 교육원과 포교원 예산은 대체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재무부는 전년 대비 29.6%가 증가한 17억9800여만원이 늘었다. 신규로 종교인과세 업무(1억3700여만원)가 추가됐으며, 시설 특별회계·신도시시설건립 특별회계(위례 불교문화유산보존센터·세종 한국불교문화홍보체험관 자부담금 등)다른 분야 전출금이 대폭(47.6%) 늘었다.
780여개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전통사찰보존지 전수조사 사역도 제작 사업 예산도 잡혔다. 자연공원법과 지방세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는 정부와 지자체의 전통사찰보존지에 대한 몰이해로 불교 관련 법들이 제개정 되는 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사업이다. 조계종은 정부와 지자체의 명확한 개념 이해를 돕는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총무부는 교역직 판공증가와 일반직 종무 인건비 상분 반영 및 법계산림, 박물관은 시설보수, 사업부는 수익사업 연구기획 등으로 예산이 증액됐다.
이에 따라 조계종 중앙종무기관 예산이 올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최근 4년간 조계종 예산은 2015년 479억여원, 2016년 533억여원, 2017년 700억여원, 2018년 827억여원이었다.
기획실 관계자는 “남산과 용산 모두 신도시 포교활성화 거점 마련이라는 종단 목적 사업을 위해 매입을 검토하면서 시설 특별회계에 100억여원이 증액됐다”며 “표면상 1000억원을 넘었지만 종무행정 집행이 원활하던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월금을 적용하면 사실상 11억여원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 원과 부서에 36대 총무원장스님의 공약 세부실행계획이 접수되고 논의되는 상황”이라며 “종단 목적사업과 36대 집행부 기조에 차질이 없도록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